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jeongwon

[Oracle] 서버&클라이언트, SQL Developer, 스키마 본문

DataBase

[Oracle] 서버&클라이언트, SQL Developer, 스키마

jeongwon_ 2022. 5. 25. 19:53

HOST 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한 대 한 대를 의미한다. 

만약 한 컴퓨터에 Oracle이 설치돼 있으면서 데이터가 들어 있고,

다른 한 컴퓨터에는 sqlplus가 설치돼 있으면서 저쪽 컴퓨터에 데이터와 관련한 요청을 한다면? 역할이 서로 다르다.

이 요청하는 컴퓨터를 Client, 데이터가 들어 있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Server 라 한다. 

 

오라클을 기준으로 이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요청 프로그램을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라 부르고,

그에 속하는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sqlplus 가 있는 것. (오라클을 설치하면 함께 제공)

서비스 제공하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서버' 와는 구분해서 이해해야 한다. 

 

GUI 환경에서 오라클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다.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SQL Developer, Toad(유료) 등.

 


스키마

스키마에 속한 표들을 설명하는(형태,정보) 게 철학적/개념적으로 스키마이긴 하나

표가 많아지면서 서로 연관된 표를 그룹핑하기 위한 체계가 필요한데, 그러한 체계를 스키마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 위키백과 :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 사전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레코드의 크기, 키(key)의 정의, 레코드와 레코드의 관계, 검색 방법 등을 정의한 것.

 

오라클에서는 여러 사용자를 만들 수 있고,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테이블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를 생성하면 사용자에 속하는 스키마가 만들어진다. 

즉, 스키마와 사용자는 같은 개념은 아니지만 함께 생각할 필요가 있다. 

 

정리하면, 

스키마는 서로 연관된 표들을 그룹핑하는 일종의 디렉토리이며, 사용자를 생성하면 사용자에 해당되는 스키마가 생성된다. 

그리고 스키마의 본질적 정의는, 스키마에 속하는 표들을 정의하는 정보라 할 수 있겠다. 

 

+추가

테이블, 인덱스, 기타 등등의 Object 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스키마라 한다.

스키마를 만든다 혹은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vKd6V0cXoL4)

 

 

 

 

사용자와 스키마 - 생활코딩

수업소개 오라클에서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는 테이블들을 그룹핑하는 스키마를 만들어야 합니다. 사용자를 생성하면 스키마가 만들어지기 떄문에 이번 시간에는 사용자를 생성해서 스키마

opentutorials.org

 

 

SQL Developer - 생활코딩

수업소개 오라클 클라이언트 중 하나인 SQL Developer의 사용법을 배웁니다. 강의

opentutorials.org